• 월/화/금
    오전 9 : 00
    ~
    오후 6 : 00
  • 수/토
    오전진료
    오전 9 : 00
    ~
    오후 1 : 00
  • 목요일
    야간진료
    오전 9 : 00
    ~
    오후 8 : 00
  • 점심시간
    오후 1 : 00
    ~
    오후 2 : 00

RHEUMA PYEON HAN PHYSICIAN

A·B형 간염

A·B형 간염

간염의 종류는 A, B, C형과 드물게 나타나는 D, E형 간염까지 다양하게 존재하며, 간염이 만성으로 진행되는 경우 단계적으로 만성 간염, 간경화, 간암으로 발전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A형 간염이란 A형 간염 바이러스가 간에 침범하여 간 세포에 증식하면서 주변 간 조직에 염증을 발생 시킨 것을 말합니다.
오염된 음식이나 무을 통하여 입을 통해 감염되는데 바이러스는 구강쪽 인두, 점막 , 소장 점막을 투과하여 혈액으로 침입하여 간에서 증식하고 염증을 유발합니다.

B형 간염은 주로 혈액을 통해 전염되며 수혈, 오염된 주사바늘, 면도기, 칫솔 등으로 전염이 가능합니다.
이외 타액, 질액, 정액에 바이러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성접촉을 통하여 전염될 수 있습니다.

A·B형 간염 증상

  • 미열
  • 피로감
  • 식욕 감소
  • 오심 및 구토
  • 황달
  • 복통
  • 콜라색 소변
  • 피부 가려움증

A·B형 간염 원인

A형 간염 원인

  • 오염된 물 섭취
  • 오염된 음식, 급식
  • 수혈
  • 감염자의 대변에 오염된 물건

B형 간염 원인

  • 출생시 수직감염
  • 성적인 접촉이나 수혈
  • 오염된 주사기 재사용

A·B형 간염 예방접종

A형 간염 예방접종

  • 2회정도 접종하면 A형간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백신 접종력이 없거나 A형간염에 감염된 적이 없는 만 40세 미만에서는 항체검사 없이 백신을 접종합니다.
  • 만 40세 이상은 항체가 있는 경우가 많기에 항체검사후 없는 경우에만 접종이 권장되고 있습니다.
  • A형 간염 유행지역으로 여행예정일 경우 접종을 권장합니다.

B형 간염 예방접종

B형 간염 보균자는 예방접종을 하여도 예방효과가 전혀 없기 때문에 접종을 받지 않습니다.
  • 함께 생활하는 가족 구성원은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검사 후 예방 접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대상은 주로 영유아이며 6개월 이내 3회 접종하면 항체가 생깁니다.
  • 보통 영유아 대상 접종 시 1회차는 0개월, 1개월, 2개월과 6개월 중에 선택하여 3회 시행합니다.
  • 성인도 혈액검사상 항체가 없는 경우 백신접종을 권장합니다.